반응형
금값이 오르는 경우
- 경제 불확실성 증가: 경제가 불안정하거나 금융 시장이 흔들릴 때, 사람들은 안전한 투자처를 찾게 됩니다. 이때 금이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수요가 늘어나면서 금값이 오를 수 있어요.
- 인플레이션 우려: 물가가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될 때, 금은 가치를 유지하는 자산으로 주목받습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이 걱정될 때 금값이 상승하는 경우가 많아요.
- 달러 가치 하락: 금은 주로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면 금값이 상대적으로 오르게 됩니다. 이는 달러 약세가 금 수요를 높이기 때문이에요.
- 중앙은행의 금 매입: 세계 여러 나라의 중앙은행이 금을 사들이면 금 수요가 증가하면서 금값이 오를 수 있어요. 이런 상황은 주로 각국이 외환보유고를 다양화하거나 자산을 안전하게 운용하려 할 때 발생합니다.
- 정치적 긴장과 전쟁: 전쟁이나 국제적인 정치 긴장 상황에서도 금값이 오르는 경향이 있어요. 이럴 때 사람들은 안전자산인 금에 투자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차트로 보니까 엄청 납니다.
1976년 이후로 금값이 계속 오르기만 하는 느낌이네요.
금은 원자재의 대표 상품이므로 다른 원자재들도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금 외에도 여러 원자재들이 최근 몇 년 동안 주목받고 있으며, 그 가격이 크게 변동하고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대표적인 몇 가지 원자재와 그 상황을 말씀드릴게요.
- 은 (Silver):
- 은은 산업용 수요가 많고, 특히 전자제품과 태양광 패널에 많이 사용됩니다. 최근 몇 년간 은 가격도 상당히 상승했는데, 이는 금과 마찬가지로 안전자산으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산업 수요 증가에 기인한 것입니다.
- 구리 (Copper):
- 구리는 건설 및 전자제품에 필수적인 재료로 사용됩니다. 특히 전기차, 재생 에너지, 5G 인프라 등에서 수요가 늘어나면서 구리 가격이 많이 올랐습니다. "닥터 코퍼"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구리 가격은 전 세계 경제 건강을 가늠하는 지표로 여겨집니다.
- 원유 (Oil):
- 원유는 에너지의 핵심 자원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수요 감소로 인해 가격이 급락했지만, 이후 경제 회복과 함께 수요가 회복되면서 가격이 다시 상승했습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지정학적 요인도 원유 가격에 큰 영향을 미쳤어요.
- 천연가스 (Natural Gas):
- 천연가스도 최근 몇 년 동안 가격 변동이 컸습니다. 특히 유럽의 에너지 위기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천연가스 가격이 크게 올랐습니다. 천연가스는 전력 생산, 난방, 산업 연료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가격 변동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 철광석 (Iron Ore):
- 철광석은 철강의 주요 원료로, 건설 및 제조업에서 필수적입니다. 철강 수요 증가와 함께 철광석 가격도 큰 폭으로 올랐어요. 하지만 최근 중국의 부동산 시장 둔화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 농산물 (곡물, 커피, 설탕 등):
- 농산물 가격도 최근 몇 년 동안 상당한 변동을 보였습니다. 기후 변화, 공급망 문제, 그리고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곡물 가격 상승은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식량 안보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은 전반적으로 세계 경제 상황, 공급망 문제, 지정학적 요인,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각 원자재마다 가격 변동의 원인과 추세가 다를 수 있으며,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또 오른 것 중 대표적인 것!! 부동산입니다.
부동산의 가격상승은
- 저금리 환경: 각국 중앙은행들이 저금리 정책을 지속하면서, 대출이 쉬워졌고, 이는 사람들이 부동산을 더 많이 사들이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부동산은 수요가 계속 높았어요.
- 유동성 증가: 정부의 경기 부양책으로 시장에 많은 돈이 풀리면서, 이 자금들이 주식,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으로 흘러들어가 가격을 끌어올렸습니다.
- 도시화와 인구 증가: 특히 대도시에서는 인구 증가와 함께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했어요. 이는 아파트 가격 상승의 큰 원인이 되었죠.
- 투자 수단으로서의 부동산: 많은 사람들이 안정적인 투자처로 부동산을 선호하게 되면서, 땅이나 아파트와 같은 자산에 대한 투자가 증가했습니다. 이는 특히 대도시나 개발 예정 지역의 땅값과 아파트 가격을 크게 올리는 요인이 되었어요.
-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 부동산도 금과 마찬가지로 인플레이션에 대비하는 자산으로 여겨집니다. 물가 상승에 따라 부동산 가격도 올라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인플레이션을 우려해 부동산에 투자했습니다.
이런 요인들로 인해 금뿐만 아니라 부동산도 큰 폭으로 상승하게 되었죠.
이렇게 보니까 '돈' 💲빼고 다 가치가 오른것 같아요.
아....저도 있네요...😭
반응형
'뉴스와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디아 실적발표 - 관련주 (3) | 2024.08.28 |
---|---|
현대 2024인베스터데이 (8) | 2024.08.27 |
헬스케어 관련주 (2) | 2024.08.20 |
공매도, 그것이 알고 싶다. (1) | 2024.08.20 |
AI, 진화하고 있는 인공지능 (1) | 202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