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와 종목

공매도, 그것이 알고 싶다.

by 릴리moon 2024. 8. 20.
반응형

공매도란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실제로 소유하지 않고 매도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공매도를 할 때, 투자자는 먼저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고, 나중에 그 주식을 다시 사서 갚습니다.

목표는 주가가 하락할 때, 싼 가격에 다시 사서 빌린 주식을 갚고, 그 차익을 얻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 회사의 주식을 100달러에 빌려서 팔았다고 해봅시다. 시간이 지나 주가가 80달러로 떨어졌다면, 이 투자자는 80달러에 주식을 사서 갚으면, 20달러의 차익을 얻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반대로 주가가 오르면, 공매도 투자자는 더 높은 가격에 주식을 사야 하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는 이익을 얻을 기회가 있지만, 손실 위험도 크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공매도는 시장의 과열을 막는 기능을 할 수 있지만, 시장이 불안정할 때는 주가를 더 빠르게 떨어뜨릴 수도 있어 논란이 많기도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공매도가 금지된 상태입니다. 원래 2024년 중반에 금지를 해제하려 했으나, 불법적인 거래를 방지하고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될 때까지 공매도 금지를 연장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시스템이 마련되기 전까지 공매도 재개를 고려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공매도가 계속 금지된 상태입니다.

공매도 금지의 효과는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주가가 급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시장의 불안정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인 투자자들이 갑작스러운 주가 하락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공매도 금지의 부정적인 효과는 주식시장의 유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유동성이 줄어들면, 주식을 사고파는 것이 어려워지고, 가격 변동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매도는 주식이 과대평가되었을 때 가격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공매도가 금지되면 이러한 조정 기능이 약화되어 시장이 비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주식시장의 신뢰성이 저하될 위험도 있습니다.

따라서 공매도 금지의 효과는 상황에 따라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평가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달라집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11월 공매도가 개선될 때까지 제도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재까지 중단된 상태인데, 금융위원회는 내년 3월 시스템 구축 상태와 시장 상황을 보고 재개 여부를 판단할 방침이다.

 

반응형

'뉴스와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값이 고공행진 중인데 사도 될까요?  (1) 2024.08.21
헬스케어 관련주  (2) 2024.08.20
AI, 진화하고 있는 인공지능  (1) 2024.08.20
가계빚 증가  (0) 2024.08.20
에너지를 IoT하게 줄여보아요~ 에스원  (0) 2024.08.20